트렌드에 대하여 2부에서 정리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금 더 정밀하게
트렌드의 발생과 종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금 복잡해 보이지만
정의대로 적용해가며
독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상승트렌드의 발생]
전제조건1
상승기점가격이 발생
전제조건2
상승기점가격을 아래로 돌파하는일 없이
전제조건3
신고점을 만들어 낼 것
[하락트렌드의 발생]
전제조건1
하락기점가격이 발생
전제조건2
하락기점가격을 위로 돌파하는일 없이
전제조건3
신저점을 만들어 낼 것
가격이
1에서 2를 만들고
1을 넘어서는 신고점3을 달성.
이 단계에서 [상승트렌드 발생]
상승기점가격=2번
3번에서 4번으로 가격이 내려와
3번의 고점을 갱신시키지 못했지만
상승기점2번이 안깨졌으므로
[상승트렌드 유지중]
4번에서 2번 밑으로 안빠지고
(=상승기점을 돌파당하는 일 없이)
신고점을 5번으로 갱신.
[상승트렌드 유지중]
그에따라 순서대로
7번과 9번의 신고점 갱신완료.
[상승트렌드 유지중]
하지만 10번에서
이전의 상승기점인 8번을 밑으로 돌파.
[트렌드 붕괴=트렌드가 없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상승기점이 밑으로 돌파당했다]는 것은
[하락트렌드가 발생했다]가 아닙니다.
단지 트렌드가 없는 상황 입니다.
이런 상황은 진입할수 없습니다.
아무런 트렌드도 없기 때문입니다.
11번에서 12번으로,
이전 10번의 저가를 새로이 밑으로 갱신.
[하락트렌드 발생]
매도진입
13번에서 14번으로
이전 12번의 저가를 새로이 밑으로 갱신
[하락트렌드 유지중]
매도진입.
그 후,
14번에서 15번으로
하락기점인 13번을
위로 돌파하였다=[트렌드 없음].
진입불가하며, 대기중.
트렌드가 없어지는 상황은
손절컷으로 마무리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이 장면은
지금 확인하고 있는 차트보다
상위축을 확인 한 후,
상승이 다시 이루어 질 가능성이 있다면
14번에서 13번사이의 가격대는
절호의 매수진입 가격대 일 수 있습니다.
기술적으로는 [트렌드 붕괴=트렌드 없다]상황.
15에서 한번 밑으로 움직인 후
신고점인 16번의 달성을 이루었다
[상승트렌드 발생]
따라서 16번 이후부터는 매수진입만을 확인.
이와 같이 트렌드를 기점의 정의에 대입해
독해한 후 진입해야 할 포지션과
대기해야할 장면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다우이론 차트독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트레이딩스타일과 익절손절] (0) | 2019.12.12 |
---|---|
[5. 진입에 대한 논리] (0) | 2019.12.11 |
[3. 상위/하위축에 대한 정리] (1) | 2019.12.10 |
[2. 트렌드의 정의와 파악] (1) | 2019.12.09 |
[1. 다우 트레이딩의 장점] (3) | 2019.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