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우이론 차트독해]

[3. 상위/하위축에 대한 정리]

MTF.

멀티 타임 프레임.

여러 시간축에서 보이는

차트의 방향성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흔히,

어떤분은 동일한 위치에서 상승을 보고

또 어떤분은 같은 위치에서 하락을 봅니다.

같은 차트 1장에서 여러 형태로 갈라지는

차트의 방향성.

 

또,

항상 우리가 당하는

매수했는데 매도로 쭉 빠지고,

매도진입했는데 매수로 치고 올라가는.

그런 형태의 흐름은 도대체

왜 일어나는가? 에 대한

고찰입니다.

 

 


 

파란색 선의 주가가 만드는 형태를 확인하고,

1상승기점이 붕괴되지 않았다

2지속적으로 고가를 새로 갱신했다

라는 조건에 맞추어

 

[1.상승트렌드의 정의대로 트렌드의 발생 확인.]

[2.매수로 진입하자.]

[3.1번선 정도에 매수진입 걸고]

[4.손절은 2번선 정도에.]

 

다시말해, 초록색 점선의 방향을 노리고

주가가 변동할 것을 "상승트렌드의 정의"에 맞추어

예측하고 진입한 것입니다.

 

해당 트레이딩은

아주 효율적이고 정상적인

정석적인 트레이딩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초록색 점선이 만드는

주가와 같은 방향대로 진행되어서

예측이 잘 맞아 떨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위 그림과 같이

보기좋게 예측이 깨지는 경우도 상당히 많습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이런 경우는 언제, 왜 일어나는 것일까요?

이런 부분을 확실히 인지한다면

우리의 트레이딩은 원칙속에서

지속적인 누적수익을 우리에게

줄 수 있을 것 입니다.

 

어떤 경우에 이런식으로

우리의 예측이 보기좋게 깨지는가?

 

바로 "상위의 가격축"에 

그 해답이 존재합니다.

그림을 다시 보시겠습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의 예측이 실패하는

가장 대표적인 케이스라 할 수 있습니다.

[전체의 흐름과 반대되는 하위가격축의 방향]에

우리는 매번 매번 당하는 것입니다.

다시말해,

[상위시간축의 되돌림]에 매번 당하고, 속는 것.

해당 차트는,

상위축은 하락트렌드 발생이고,

하위축은 일시적인 상승트렌드 발생.

하락트렌드>상승트렌드

대표적인 장면입니다.

 

하지만 해외선물의 특성상,

되돌림이라는 것도 하위축으로 보고있노라면,

원웨이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큰 상위축으로 자신의 위치와 방향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차트에는 각각 상위축과 하위축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상위축은 큰 자금이 투입되는 차트의 시간/가격축이며,

하위축은 작은 자금이 투입되는 차트의 시간/가격축입니다.

 

더 쉽게 말하자면,

1분/5분/15분 같은 시간축은 하위의 시간축이며,

4시간/1일/1주일 같은 시간축은 상위의 시간축입니다.

 

또한,

어디까지나 하위축의 차트는 상위축에 귀속됩니다.

하위축에서의 움직임은 반드시 상위축의 방향을

따라 진행될 수 밖에 없습니다.

 

위의 그림과 같은 경우는,

15분 차트에서는 틀림없는 상승트렌드를 형성하였으나,

그 상승트렌드의 정체는 4시간에서는 재하락을 하기위한

[되돌림]에 지나지 않는 형태라는 것.

 

현명한 트레이더라면 푹 쉬면서 잘 기다렸다가

4시간(=상위축)에서의 [매도]진입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무리하게 트레이딩의 횟수를 늘려서

리스크와 수수료를 가중시킬 필요없이,

상위축 방향대로의 투자만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행위.

그러한 트레이딩이 지속될 때야말로

누적수익이 차곡차곡 쌓이는 형태가 됩니다.

 

차트를 지속적으로 독해하여,

자신이 트레이딩하는 상위축을 결정짓고,

진입을 결정하는 하위축을 자세히 관찰하여 진입한다.

이것이 이 포스팅의 결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