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모든 트레이딩은
바로 이 "트렌드"를 바탕으로
하고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닙니다.
간단하게 흔히들 우리가 사용하는
"트렌드"라는 말의 정의부터 생각해 보겠습니다.
[1. 트렌드의 정의]
간단히 말하자면
우리가 국내에서 사용하는 "추세".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한다=업트렌드'
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한다=다운트렌드'
로써 간단히 설명할 수 있지만,
차트에서 우리가 직접 캔들을 보고
그 상황을 판단하기에는 어렵다고 느끼실 것입니다.
누군가는 상방이다
누간가는 또 하방이다.. 등등
여러 견해가 갈리기 때문이죠.
동일한 차트를 같은 시간에 보고있는데
왜 이러한 "견해차이"가 발생하는지.
그 이유와 정확한 독해법을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기점가격"이라는 말을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으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한 장의 차트에서 고가, 저가, 최고가, 최저가 등은
시각적으로 금방 확인이 가능합니다만,
이 "기점가격"이라는 용어를 정확히 정리하면
"트렌드"의 개념까지도 연결해서 풀 수 있습니다.
현재 보시는 모식도가
"상승트렌드"를 간략화 한 내용입니다.
기본적으로 1,3,5번의 가격은 고가(신고가/최고가)
2,4번의 가격은 저가라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기점가격의 정의는
"이전의 고가를 돌파시킨 저가" 입니다.
설명하고자 하는
"기점가격"은 2번과 4번의 저가입니다.
다시말해,
2번과 4번은 "상승기점가격"이라고 이름 붙일수 있는데,
그 이유는 앞서 설명한 정의와 같이,
2번은 1번의 고가를 갱신하여
3번의 신고가를 이루어낸 기점이며,
4번은 3번의 고가를 갱신하여
5번의 신고가를 이루어낸 기점이기 때문입니다.
실제 트레이딩에서
트렌드(추세)에 대한 기술적인 정의를 내릴 때,
바로 위의 기점가격의 개념으로 설명합니다.
[상승기점가격이 무너지지 않고,
=밑으로 돌파당하지 않고
새로운 고점을 만들어 내는것에 성공하였다]
=상승트렌드 발생
이라고 정의하는 것입니다.
하락트렌드도 동일합니다.
[하락기점가격(2,4)이 위로 돌파당하는 일 없이,
1,3,5의 신저점을 만들어 내는것에 성공하였다]
=하락트렌드 발생
여기서 취해야 할 포지션은 매도포지션.
이와 같이 트렌드(추세)를 정의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실제 트레이딩이라는 것은
대체 무엇을 보고 포지션을 잡고
무엇을 보고 청산(익절/손절)하는가?
에 대한 본질적인 내용을 기술하도록 하겠습니다.
[2. 다우이론을 통한 실전매매]
모든 차트를 기반으로 하는 트레이딩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내용으로써,
그 기본은 "귀납적 결론도출"에 있다 할 것 입니다.
우리는 단 10초앞의 미래도 알 수 없습니다.
절대로 확정 지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계획과 추측은 할 수 있습니다.
실생활을 예로 든다면,
나의 의지와 계획에 따라
하루하루를 보내는 일은 가능합니다.
이것을 트레이딩에 접목시켜 서술한다고 가정하면,
예를들어 상승트렌드 발생을 확인한 후
[상승트렌드가 발생하였다] 라는 "사실"을 근거로,
[상승트렌드=1상승기점을 무너트리지않고
2신고점을 갱신한다]
라는 2가지의, 해당 사실과 함께 수반되는
조건들을 떠올릴수 있습니다.
그때 취할 수 있는 행동은,
"가격이 신고점을 돌파할지 아닐지는 모르지만,
신고점 부근까지는 도달할 가능성이 높다"
라는 지금까지의 사실과
그때, "상승기점가격은 무너트리지 않는다"
라는 또 다른 사실을 가지고
트레이딩에 임할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에따라 내가 취할 포지션은
1.매수포지션.
2.손절라인은 상승기점보다 낮은 가격에 위치.
3.익절의 타겟은 이전 고점부근.
상승트렌드를 확인하였으므로 1번의 포지션.
상승기점가격이 밑으로 돌파당하면
트렌드가 붕괴되므로 2번의 손절라인
상승트렌드 중에는 신고점을 위로 갱신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3번의 익절라인.
이와같이 간략하게 정리해 볼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왜 동일한 차트를 바탕으로
상승중이다 하락중이다 에 대한
견해가 갈리는지,
다우이론을 자유자재로 사용하여 트레이딩하기 위한
가장 큰 난점인 멀티타임프레임[MTF]에 대하여
기본적인 아이디어를 서술하겠습니다.
'[다우이론 차트독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트레이딩스타일과 익절손절] (0) | 2019.12.12 |
---|---|
[5. 진입에 대한 논리] (0) | 2019.12.11 |
[4. 트렌드의 발생과 종료] (0) | 2019.12.10 |
[3. 상위/하위축에 대한 정리] (1) | 2019.12.10 |
[1. 다우 트레이딩의 장점] (3) | 2019.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