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우이론 차트독해]

[7. 다우이론과 수평선]

흔히들 이야기하는

지지선과 저항선의 본질적인 

개념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매번 제가 말씀드리는 것과 같이

중요한 것은

내가 어느 시간축을 보고 있는가

하는 것이며, 이것은 곧

나는 어떤 스타일의 트레이딩을 하는 사람인가

하는 문제와 직결됩니다.

 

 

강한 지지와 저항을 찾고 인식하기 위해서는

높은 시간축 ~1시간 이상의 차트~를 참고해야 하며,

스캘핑을 할 때에도, 차트의 모든 파형은

상위 시간축or틱축의 영향하에 있기 때문에

자신이 상위로 결정한 차트에 기본하여

매매에 임하여야 합니다.

 


다시 원래의 주제인

지지선과 저항선의 개념을

다우이론과 연계하여 설명해 보고자 합니다.

 

매매에 관여하는 간단한 대중심리 까지 포함되므로,

함께 연관지어 이해하시면 더욱 좋습니다.

 

위의 모식도를 960틱에서의 파형이라 가정합니다.

각각의 붉은 수평선이 지지선과 저항선으로 

차트에서 작용하게 됩니다.

하나씩 풀어서 독해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1. A~B구간.

단기적으로 A구간에서 매도세가 우세하여

단기적인 가격의 하락을 가져옵니다.

어떤 이유에서인지는 모르지만, B지점에서

A구간을 돌파하는 움직임이 출현합니다.

 

즉, 이 구간을 풀어서 설명하자면,

A에서 B로 하락하는 시점은

투자자들은 매도포지션을 취하고,

그에 따른 손절라인을 "A의 조금 위"에 위치시켰다.

라고 가정하여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것을 증명하는 현상은 "가 지점"에서 확인가능한데,

해당 "가 지점"에서 가격이 A의 조금 위를 터치함과 동시에 

가격이 위로 뻗는 형태를 보여주었다 라는 것입니다.

 

이 말은, 이전 매도가 우세했던 A지점의 "조금 위"에

[대량의 순간적인 매도포지션에 대한 손절인 반대주문,

즉 매수주문이 모여있었다]라는 뜻이 되며 

[손절로 해당 위치에 몰려있던 매수주문들]+

[B지점에서 상승시켜온 매수주문]이 되어

A지점을 위로 돌파시키는 힘이 되었다 라는 것입니다.

 

가격은 "가 지점"을 통과하여 

이전의 고가인 A를 갱신하여 C를 만들게 됩니다.

이 C지점에서의 하락은,

[메인 추세가 상승트렌드에서의 하락]

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생각할 때,

[B에서 매수주문에 대한 익절주문]인

매도포지션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즉, 상대적인 수량이 그리 많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하여, 가격이 D지점에 왔을 때의 상황을

독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트레이딩에 참여하는 모두가 A지점보다 

약간 위에 손절주문을 넣지는 않기 때문에,

아직도 A지점에서 매도포지션을 유지하는

매매자가 다수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다시말해, A지점에서 매도포지션의 보유자는

2가지 선택을 할 수 있다는 이야기인데,

일부는 손절을 칼같이 두고 진입을 하였다는 의미이고

다른 일부는 손절을 두지않고, 빠져나올 상황을 

예측해 두고 기다리고 있었다 라는 뜻이 됩니다.

 

A에서 매도포지션 보유자의 입장에서는

C에서 가격이 D로 돌아오는 상황을 눈이 빠지라

기다리고 있었을 것이고, 또 가슴졸여하며

차트를 보고 있었을 것입니다.

 

드디어 자신이 진입하였던 A지점에 도착하면

1

그 언저리의 가격에서 다들 본절청산을 위해

먼저 보유하고 있었던 매도에 대한 반대주문인

매수주문을 넣게되고,

2

또 다른 한편

차트의 파형을 보고있던 신규진입자들의 

매수주문이 다량 들어오게 됩니다. 

 

이에 따른 1+2의 매수주문이 매도주문을

이겨내는 순간이 "나 지점"이 됩니다.

내려가던 하락파형의 하락기점을

위로 돌파하는 순간. 이 이후는 이전의

상승파형을 그대로 다시 이어갈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따라서 차트는 다시 상승파형을 재개하여

"다 지점"에서 "가 지점"과 같은 현상이

또다시 일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매매자들의 심리에 의해

각각의 선들이 저항선이었다가 

다시 지지선으로 되바뀌는 현상이 

아주 빈번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우리는 이와같은,

모니터 저 편의 반대 매매자들의 심리를

기본적으로 이해함과 동시에,

전체 차트에서의 현재 나의 위치를

아주 소중하게 생각하고 트레이딩에 임하여야 할 것입니다.